Weekday Writings

코로나 발병 이후 내 일상은 완전히 무너졌다. 막학기 대학생으로서 뭐든지 치열하게 해냈어야 했지만, 전혀 생산성 없는 날들만 보냈다.

---

dead or alive

숨이 붙지 않아도
괜찮겠다 싶던 날들이 불어만 갔다.

잔인한 오월은 그래서 더 길었나보다,
봄을 지나친 이들을 시끄럽게도 깨웠다.

---

잔인한 사월이 지나고도 한참이 지난 이 시점에도 일상의 회복은 커녕 더 깊은 땅 속으로 숨어만 들어가고 싶은 나날이다. 개강 후 첫 달은 그래도 개강 버프로 어느 정도 안정적인 바이오리듬을 유지했지만, 개강 효과는 채 몇 주를 가지 못 했다.

어떻게든 생산적으로 하루를 보내기 위해 그동안은 읽지 않았던 종류의 자기계발 서적을 찾았다. James Clear의 "Atomic Habits"와 Thomas M. Sterner의 "The Practicing Mind", 그리고 Dzongsar Jamyang Khyentse의 "What Makes You Not A Buddhist"가 4월 동안 읽었던 책들이다.

James Clear는 습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질문 4가지 질문에 대해 풀어 설명했는데,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1. 어떻게 당연하게 만들것인가?
2. 어떻게 매력적이게 만들것인가?
3. 어떻게 쉽게 만들것인가?
4. 어떻게 만족스럽게 만들것인가?

하기 싫은 습관을 참고 해내는 내력보다 애초에 하기 싫다는 마음이 들지 않도록 뇌를 속이는 방법들에 대해 자세히 기록해놓았다. 이 책을 잃고 습관 형성 어플을 다운 받아 내 습관 이력들을 기록했다.

"The Practicing Mind"는 앞선 책과는 달리 마음가짐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나는 꽃이다."라는 한 문장이 이 책 전체의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꽃의 어떤 상태가 가장 완벽한 상태일까? 아름다운 꽃을 피웠을 때를 보통 우리는 꽃의 가장 완벽한 상태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꽃은 아직 발아하기 직전인 씨로 존재할 때에도, 아직 봉우리를 피우기 전에도 완벽하다. 발아 상태부터 개화 상태까지 모든 과정이 꽃을 피우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며, 이 모든 완벽한 과정 없이는 꽃을 피워낼 수 없다. 무엇을 이루길 소망하던간에 그 소망을 이루려는 모든 노력의 시간들은 그 소망의 결실만큼이나 완벽하다. 종종 내 일상에 진척이 없을 때 '나는 꽃이다'를 만트라처럼 되뇌이며 마음을 추스렸다.

'What Makes You Not A Buddhist'는 꽤 오래간 끝내지 못하고 질질 끌며 읽어 왔던 책이었다가 매일 40페이지씩 읽기를 습관으로 들인 후에 마침내 끝낸 책이다. 사실 기억에 남는 내용은 딱히 없다. 싯다르타의 생애와 함께 불교의 사상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다.

돌아보니 그래도 4월은 꽤나 생산적으로 보냈다는 생각이 든다. 6월에는 매 주 세 편의 글을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지내볼 생각이다.

Weekday Writings

Can music save us?

Septmeber 11. 2001, something was lost forever amid the debris of World Trade Center. Unrecognizable yet definite loss left deep cut inisde hearts of American people, if not the entire world.

From the debris of the terror bloom new kind of sorrow, a sorrow we've never witnessed before, a kind no one knew how to handle.

The following spring, Norah Jones released her debut album 'Come Away With Me'. And as it stands, it touched Americans' wounded heart. They didn't know where Jones was taking them to, nor did she.

It's mysterious how music binds people and give solace or how the lyrics or tunes pick up the anonymous feelings inside our mind and name them and identify them.

It's in this way music heals the world. They name the wound inisde people's heart and then pull it up off the floor and let us confront them.

I've been having bad time myself through this quarantine. When the new Strokes' album 'The New Abnormal' came out, I was thrilled in a really long time. The world didn't expect much delightful surprises for you know how long.

As I was going through the album, I discovered something never happened to me before. I was linking the lyrics with the COVID-19 situations. When he sings 'Not the same anymore' I was thankful for him saying out loud the obvious fact. The piece probably were composed even before the first COVID patient. Nonetheless, I perceived the lyrics through my own scope. He didn't know why it was so depressing. He was just murmuring his disappointments and sadness. And I coincided with his lines.

On the other hand, Norah Jones' new album is more hopeful in its tone. Though she sings 'this life as we know it is over', she is still hopeful that we will find true place for each of us.

Will listening to music save us? I want to borrow an excerpt from Kurt Vonnegut's novel 'The Sirens of Titans' to answer the question.

"It was literature in its finest sense, since it made Unk courageous, watchful, and secretly free"

We will tread on watchfully through this difficulties with the courages and sense of freedom music gives us.

Weekday Writings

스타벅스를 자주 가지 않는 사람들이 스타벅스에서 주문을 할 때면, 방대한 메뉴 중 하나를 고르는데 1차로 고통받고, 음료 사이즈를 고르는데 2차로 고통받는다. 대다수의 카페들은 스몰, 미디움, 라지로 음료 사이즈를 구분짓는데 반해, 스타벅스는 독자적인 규격을 갖고 있다.

대충 생각해보면 톨은 길다, 그란데는 크다, 그럼 벤티는?? 아무튼, 이런 궁금증이 생겨 스타벅스가 톨, 그란데, 벤티를 음료 사이즈로 차용하게 된 이유를 찾아봤다.

스타벅스는 초창기 쇼트(Short, 8oz., 236mL), 톨(Tall, 12oz., 354mL) 두 사이즈의 음료 사이즈를 판매했었다. 그러다 고객들이 더 큰 용량의 커피를 찾자, 그란데(Grande, 16oz., 473mL)사이즈를 메뉴에 올렸다. 그란데는 스페인어로 크다는 뜻으로, 기초적인 스페인어에 큰 어려움이 없는 미국 시장에서는 그런대로 이해할만한 단어 선정이다. 하지만, 고객들은 그란데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큰 용량의 커피를 찾았고, 스타벅스는 벤티(Venti, 20oz., 591mL)사이즈 커피를 판매하기 이른다. 벤티는 이태리어로 20이라는 뜻으로, 20oz. 사이즈의 음료를 좀 더 스타일리시하게 부르기 위해 벤티라는 이태리어를 사용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스타벅스 음료 사이즈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야 말로 정상인이며, '톨, 그란데, 벤티'는 거대 기업의 주먹구구식 네이밍이라고 할 수 있겠다. 

1줄 요약: 스타벅스 음료 사이즈는 '길다, 크다, 20'이다.

 

1 2 3 4 5 6 ··· 10
블로그 이미지

Yejun Kimme